1. HTML5 기본 구조(기본 형식)
공부가 요즘 안되서 정리하는 식으로 진도를 나가보는것으로 변경해보고자 한다.
적용하면서 코드도 짜보는걸로.
글은 최대한 짧게, 최대한 나눠서 작성.
1. HTML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문장 형식
HTML은 태그의 언어이다. 모든 것이 태그로 되어있다.
태그가 뭐냐? tag?
네이버에 사전적 의미를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다.
1.[C] [흔히 합성어에서] (어떤 표시를 하기 위해 붙인) 꼬리표[태그] 참조 price tag
2.[C, 주로 단수로] (사람사물을 묘사하기 위해 붙인) 꼬리표
그렇다. 어떤 표시를 하기 위한 이름표 같은 것.
어쩌면 기능에 대한 이름이 될 수도 있고, 공간에 대한 이름이 될 수도 있겠다.
하지만 SNS에서처럼 #을 붙이거나 ','로 태그를 붙이는 건 아니고 아래의 문법으로 태그를 작성한다.
<태그명> 내용 </태그명>
위를 풀어서 설명하면 <야 아무개 기능아 너 쓸거니까 이리와봐> 내용 </야 수고했다 가봐> 의 구조 인 것이다.
끝의 태그에서는 항상 ' / '를 붙여 위 구조로 닫아야 한다. 각설하고 아래를 참고해보자.
2. HTML5 기본 구조
자 이제 조금 더 써보면 HTML은 기본적으로 아래의 구조를 가진다.
<!DOCTYPE html> <!-- html5로 작성하겠다는 선언 -->
<html> <!-- html 언어를 사용하겠다는 선언 -->
<head> <!-- body를 구성하기 위한 선언 장소. head 뜻 그대로 머리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머리에 관련 지식이 있어야 일을 하겠지?! 지식을 넣어주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됨-->
<title> HTML 기본 구조 입니다. </title> <!-- 인터넷 브라우저 창에 뜨는 web page 제목이다. -->
</head>
<body> <!--말 그대로 몸이다. 몸으로 우린 일한다. body에 구현하고자 하는 태그 및 언어 등을 기술한다 -->
HTML 기본 구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body> <!-- '나 구현 다 끝냈다' 라는 마침부 -->
</html> <!-- html 다 작성했어 수고 -->
브라우저에 'HTML 기본 구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만 출력하는 아주아주 간단한 구조다.
뼈대가 저렇게 생겼다라고 이해하면 된다.
뼈가 있으면 뼈를 움직여야 할 근육도 있어야겠지?
다음 정리 할 것은 속성 개념이다.
그리고 왜 HTML5냐? 뭐가 HTML5야??? 를 정리 해야 할 것 같다.
3. HTML5 란?
HTML5는 웹 접근성, 웹 표준화를 위해 버전 업 된 web page langaue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위 말이 무엇이냐?
몸이 불편하신분들도 차별 없이 인터넷을 사용 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를 구현하고자 정의 된 것. 그러니까 표준화 된 것이 바로 HTML5 다.
그래서 HTML5에서는 사용을 지양하는 태그들이 생겨났다.
그 중 하나가 <frame> 태그이다. 메뉴 구성을 쉽게 할 수 있는... <iframe> 태그는 사용 가능 한 듯 하다.
왜 Frame 태그가 사용 지양 된 건지 잘 모르겠다 ㅠㅠ.
고정되어 있는 메뉴바를 어떻게 작성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ㅠ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은 공간 태그들을 통해 작성하게끔 유도되고 있다.
예전에는 Frame 으로 편하게 레이아웃을 구성했는데... 프레임 없이 공간태그로 작성하려하니 어렵다 ㅠ
어쨌든, 이전 버전과의 차이라면, 지양되고 있는 태그가 있다는 것. 웹 표준화가 이루어졌다는 것. 웹접근성을 염두해두고 코드를 작성해야 한 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