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오늘은 6번째 html 태그 정리 시간입니다.
뭔가 글 남기기 참 힘드네요.. 요즘 유튜브에 메모하는 습관 같은 영상 가끔씩 보는데,
참 유용하다는 것을 알고 느꼈던 바도 있지만, 기록을 남기는게 참 쉽지가 않습니다. 특히 싱글이 아니라면 더욱 더 그렇죠 ㅠㅠ
자 각설하고 정리 들어가보겠습니다.
https://www.w3schools.com/html/html_lists.asp 에 따르면 글 제목과 같은 태그들을 List tag로 정의하고 있고,
그 tag의 종류는 글 제목과 같습니다.
늘 그랬듯, 어떤 단어를 축약해놓은 것인지 단어 정리 먼저 들어가볼게요.
<ul> : Unondered List : 정돈되지않은, (질서)정연하지 않은, 순위적이지 않은
<ol> : Ordered List : 정돈된, (질서)정연한, 순위적
<li>: List item : 목록 항목
<dl> : description list : 기술 목록
<dt> : a term/name in a description list. : 기술 목록의 설명
<dd> : Describes the term in a description list : 기술 목록에 기술된 내용
<dt>와 <dd>태그는 잘 모르겠네요 단어의 뜻을. 그러나 <dl>태그와 관련 있음을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일단 위 링크 페이지의 순서에 따라 태그 사용 목적 사용법, 코드 등을 보도록 할게요.
<ul> 태그 입니다.
An unordered list starts with the <ul> tag. Each list item starts with the <li> tag.
The list items will be marked with bullets (small black circles) by default:
순서가없는 목록은 <ul> 태그로 시작합니다. 각 목록 항목은 <li> 태그로 시작합니다. <li> 목록 항목은 기본적으로 글 머리 기호 (작은 검은 색 원)으로 표시됩니다.
어떻게 쓰는건지 코드를 보도록 할게요.
<h2>An Unordered HTML List</h2>
<ul>
<li>Coffee</li>
<li>Tea</li>
<li>Milk</li>
</ul>
결과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An Unordered HTML List
- Coffee
- Tea
- Milk
자 어떻게 써야하는지 감이 오시나요?
일단 <ul>태그로 <li>태그를 감싼 모습을 볼 수 있고, <li>태그내 기술된 목록은 검은 점으로 표시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로 정렬되는 것을 보아 block 성격의 태그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 사이트를 보시면 알겠지만, <ul>태그 속성값으로 기호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CSS로 적용시켜야 합니다.
<ol> 태그 입니다.
An ordered list starts with the <ol> tag. Each list item starts with the <li> tag. The list items will be marked with numbers by default:
정렬 된 목록은 <ol> 태그로 시작합니다. 각 목록 항목은 <li> 태그로 시작합니다. 기본적으로 숫자로 표시됩니다.
<h2>An ordered HTML list</h2>
<ol>
<li>Coffee</li>
<li>Tea</li>
<li>Milk</li>
</ol>
An ordered HTML list
- Coffee
- Tea
- Milk
<ul>태그와 다르게 번호가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ol>태그의 속성값으로 번호가 아니라 알파벳으로 바꿀 수도 있고 로마 숫자로도 바꿀 수 있는데요. 위 사이트 설명에 CSS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것으로 보아 태그에 속성값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TypeDescription
type="1" | The list items will be numbered with numbers (default) |
type="A" | The list items will be numbered with uppercase letters |
type="a" | The list items will be numbered with lowercase letters |
type="I" | The list items will be numbered with uppercase roman numbers |
type="i" | The list items will be numbered with lowercase roman numbers |
추가로 시작 번호도 바꿀 수 있네요! 속성은 start 이구요 값은 정수로만 반영 가능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깔끔하게 위 속성들이 적용 된 하나의 코드를 더 보도록 하겠습니다.
<ol start="50">
<li>Coffee</li>
<li>Tea</li>
<li>Milk</li>
</ol>
<ol type="I" start="50">
<li>Coffee</li>
<li>Tea</li>
<li>Milk</li>
</ol>
결과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dl><dt><dd>태그 입니다.
HTML also supports description lists. A description list is a list of terms, with a description of each term.
The <dl> tag defines the description list, the <dt> tag defines the term (name), and the <dd> tag describes each term:
HTML은 설명 목록도 지원합니다. 설명 목록은 각 용어에 대한 설명이 포함 된 용어 목록입니다.
<dl> 태그는 설명 목록을 정의하고 <dt> 태그는 용어 (이름)를 정의하며 <dd> 태그는 각 용어를 설명합니다.
음.. <ul><ol>태그와 비슷하게 사용 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쵸?
위 단어 정의 부부에서 보면 <ul><ol>태그는 order, list라는 단어가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었습니다. 즉 책의 목차 같은 느낌이고, 위 <dl><dd><dt>태그는 description 이라는 단어가 공통적으로 추가하여 들어가 있는 것을 보아 목차의 항목을 설명하는 항목으로써 태그를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왜냐면 HTML5는 웹 접근성을 중요시하니까요!
코드 볼게요~!
<h2>A Description List</h2>
<dl>
<dt>Coffee</dt>
<dd>- black hot drink</dd>
<dt>Milk</dt>
<dd>- white cold drink</dd>
</dl>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A Description List
Coffee
- black hot drink
Milk
- white cold drink
'-'는 태그에서 처리해주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보면 직접 타이핑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로 표시 되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마지막으로 Nested HTML Lists 라는 내용이 있는데요,
List can be nested (lists inside lists):
List의 중첩이 가능하다. 즉, list 내 list가 존재 가능하다라는 내용이지요.
Note: List items can contain new list, and other HTML elements, like images and links, etc.
목록 항목에는 새 목록 및 이미지 및 링크 등의 다른 HTML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무슨 말인지 코드를 한 번 보도록 하죠.
<h2>A Nested List</h2>
<p>List can be nested (lists inside lists):</p>
<ul>
<li>Coffee</li>
<li>Tea
<ul>
<li>Black tea</li>
<li>Green tea</li>
</ul>
</li>
<li>Milk</li>
</ul>
결과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A Nested List
List can be nested (lists inside lists):
- Coffee
- Tea
- Black tea
- Green tea
- Milk
지금 <li> Tea 라고 적고 닫힘 태그를 바로 쓰지 않고, <ul> 태그로 한 번 더 감써서 tea의 종류를 더 써놓은 듯 합니다.
또 한 Black tea, Green tea 의 기호가 하얀점으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SS가 적용되어 있는것인가 싶어, VSC(Visual studio code editor)로 쳐보았는데 똑같이 나오네요.
<li>태그의 자식 항목으로 <ul>이 들어간건데 이렇게도 사용 할 수 있군요. 신기하네요 ㅎㅎ
저도 사실 <dl><dt><dd>태그는 처음보는거라 호기심이 생겨 한 번 아래와 같이 쳐보았습니다.
<ul>
<li>Coffe</li>
<li>Tea
<ul>
<li>Black tea</li>
<dl>
<li><dt>Hong Cha</dt></li>
<dd>홍차는 어쩌고 저쩌고</dd>
<dt><li>Corn cha</li></dt>
<dd>옥수수차가 어쩌고 저쩌고</dd>
</dl>
<li>Green tea</li>
<dl>
<dt>green tea</dt>
<dd>녹차가 어쩌고 저쩌고</dd>
</dl>
</ul>
</li>
<li>Milk</li>
</ul>
결과값은,
이렇게 나오는 걸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ㅎ
벌써 새벽 3시네요 ㅎㅎ 위닝 한 판 하려고 했는데 스트레스만 쌓일 듯 싶습니다.
오늘의 과제를 마무리하며, 저와 같이 코딩에 관심있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가 올 신년 잘 맞이하세요~!
감사합니다.
'개발노트 > HTML5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img> 태그 기본편!(src, alt, width, height) (0) | 2020.02.09 |
---|---|
7.<b><strong><i><em><mark><small><del><ins><sub><sup>태그 정리 (HTML Text Formatting) (0) | 2020.01.26 |
5.<p> <br> <pre> 태그 정리 (0) | 2019.12.25 |
4.<h> 태그 정리 (0) | 2019.12.22 |
3. <a> 태그 정리 (0) | 2019.12.02 |